인천공항에서 이륙하는 대한항공의 A380
#PENTAX #K100D #20191228 #ICN

:: 누구에게나 있는 첫 비행의 기억 ::

본가에서 독립하기 위해 내 방의 짐을 하나씩 정리했던 날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책자를 정리하던 나의 눈에 들어온 한 수첩이 있었는데, 표지에 쓰인 글씨는 나의 것이었다.

'어 이것은 뭐지?' 라고 손에 들었던 수첩은 국민학교(현 초등학교) 5학년 시절 적었던 일기장.

일기장의 하루는 ‘비행기를 처음 타는 어린아이’의 시선이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그리고 그날이 생생하게 기억이 났다.

그 비행기는 푸른 빛의 대한항공이었고, 
이쁜 승무원분이 나에게 장난감을 선물로 주었으며,
창밖에 놀라운 광경에 눈을 떼지 못했다는 것을...

어느 날 하늘 위
#SONY #RX100M3


비행기를 꽤 자주 타기 시작한 것은 항공사에 입사한 뒤부터였다.

기회가 되면 가까운 일본을 찾았고, 현지에 있는 친구들을 만났다.

지금 생각해보면 '비행기를 타기 위해' 일본에 갔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이 탄 것 같다.

많은 것들은 하늘에서 글로 정리하였고, 
때로는 다음 달에 대한 다짐을 
때로는 지나간 달에 대한 반성을 하늘 위에서 하곤 했다.


하늘에 있는 시간은 나에게 있어서 굉장히 소중한 그런 시간이었다.

나리타 공항 제2터미널의 전망대
#SONY #RX100M3 #NRT


동경에 오간 횟수가 많아서인지 몰라도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공간은 나리타공항의 전망대이다.

나리타 공항의 2터미널의 전망대 근처의 세븐일레븐에서 2~3개의 맥주를  사서 뜨고 내리는 비행기를 보며 그때그때의 방문을 정리하였다.

'오늘은 이륙하면 이런 느낌이겠지?'

'오늘은 돌아가는 기분이 이렇겠지?'

'내일 출근하면 이것저것을 해야겠지?'

'이 기억은 돌아가면 잊어야지' 

특히 2014년~2016년 사이에 그 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고, 
많이 웃었고,
많이 아쉬워했으며,
많은 것을 정리했다.


하늘위에서는 이런것도 가능하다.
#SONY #RX100M3 #OZ


기억에 남는 비행은 남미 여행 후 들렀던 뉴욕에서 인천으로 돌아오는 아시아나의 퍼스트 클래스를 탔을 때였다.

창가를 좋아하는 내가 하나의 창문이 아닌 여러 개의 창문으로 밖을 구경할 수 있었고,
몇 종류가 아닌 20여 개 가까운 술의 종류를 천천히 음미(?)하며 15시간의 비행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하늘은 이코노미 / 비즈니스 / 퍼스트를 구분하지 않는다.

적절한 구름이 섞인 푸른 하늘이라면 어디서든 
'내가 푸른 하늘에 있구나' 라고 알려주기 때문이다.

적절한 오버액션이 가능한 것도 그 하늘 위에 있어서이지 않을까?

그 날의 일출이 기억나는 이유
#SONY #RX100M3


기억에 남는 하늘 위의 광경은 노르웨이 스타방에르에서 독일의 베를린으로 비행을 할 때 탔던 Norwegian Air (노르웨지안 에어)에서 본 일출의 하늘이다.

새벽 4시쯤 일어나 분주하게 호텔에서 공항으로 향하였던 조급함을 일시에 녹여준 멋진 광경.

붉그스름과 푸르름이 적절하게 섞인 파스텔화 같은 풍경이 눈에서 잊혀지지 않는다.

7C, 제주항공
#SONY #RX100M3


내가 기억하는 푸른 하늘에 대한 많은 기억만큼, 여행을 좋아하는 이들이 기억하는 푸른 하늘의 기억은 더욱 다양할 것 같다.

10개가 넘는 항공사는 작년까지 저마다의 장점으로 많은 승객이 푸른 하늘과 만날 수 있도록 해 주었지만, 
올해는 새롭게 시작하는 여러 시도도 못 해본 채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날개가 꺾일 위기에 접한 곳도 많아 보이는 것이 못내 안타깝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만 있던 대한민국에서 승객 저마다 가지고 있는 여정의 꿈을 이루어주기 위해
그리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한 부담을 덜어 주기위해  LCC 라는 이름으로 많은 항공사가 취항을 시작한 이래로 가장 힘든 시기

저마다의 방법으로 이 어려운 시기를 잘 이겨낼 수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

여행자 각자가 기억하는 푸른 하늘을 다시 만나 이렇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말이다.

'푸르름으로 뒤 덮인 그곳은 오늘도 안녕하십니까?' 

Let’s fly Again!

'비행기는 천천히 가다가 점점 빨리 가더니 날았다. 처음에는 집이 좀 크게 보이더니 조금 지나니까 전체가 다 장남감처럼 보였다. 구름 위에 올라오니까 구름이 산과 바라, 육지처럼 보였다. 아래도 구름이 있었다. 처음 보는 하늘의 전경은 참 멋있었다. 점점 가다가 대구 공항이 보였다. 굉장이 빠른 속도로 착륙을 했다. 착륙할때 충격이 있었다.'


flyhuman170929_01

연초에 샀던 진마켓...

'출발 전' 환불해야 한다.



:: 진에어의 진마켓의 환불 ::



9월 22일 아침... 조금 일찍일어나 고민을 마무리 지었다.


' 다음주에 남미를 가는데, 미리 싸게 사두었다고 해도 바로 전주 주말 삿포로 행은 좀 힘들지 않겠어? ' 라는 고민...


그래서, 바로 졸린눈을 부비고, 

컴퓨터를 켜고, 

예약확인을 하고,


승객이름 옆의 ' 확인 ' 칸에 체크하고 환불을 누르려고 할려던 참이었다.


' 아 특가 항공권은 다른 취소 수수료 조건이 붙지??? ' 


그래서 아래를 보니



flyhuman170923_02

' 진MARKET ' 운임규정



최대 체류기간 : 15일

환불 : 출발전 ' 가능 ' !!!! 7만원 징수 출발후는.... 17만원 10만원의 NO-SHOW 비용 추가인 것 같다.


그럼, 138,600원에 구매를 했으니 68,600원을 돌려 받는다는 이야기가 되겠다.


그래서 과감히!!! ' 환불 ' 버튼을 눌렀다.


flyhuman170923_03



환불 내역이 친절하게 나온다.


그리고 ' 운임 규정 ' 을 한번 더 상기(?) 시켜 준 뒤 아래에서



flyhuman170923_04



구매한 수단과 최초 지불했던 금액 그리고 구매일 등을 확인 시켜 준다.


나는 미련없이(???) 환불 할이므로, ' 환불위약금 공제에 동의 ' 해 버린다.


동의를 체크하고, 연락처를 재 확인한 뒤, 과감하게 ' 환불 ' 버튼을 누르면 된다.



flyhuman170923_05

..... ' 하지만 조금 망설여졌다 '


그래서 과감하게 ' 환불 ' 버튼...



flyhuman170923_06

' 환불 진행 중입니다. '



그리고 환불처리가 완료되었고,


' 예약조회/변경/환불 ' 리스트에서 삿포로행 항공권은 사라졌다.


뭔가 뜨뜨미지근하게 아쉬운 느낌이지만, 주말은 남미여행을 준비해야한다.


한가지 아쉬웠던 점은, 혹시나 진마켓의 일본노선외의 환불 수수료도 한번 살펴보고 싶었는데 딱히 메뉴가 안 보였던 것...


일본은 출발 전 7만원이지만, 다른 노선은 왠지 더 비싼 것 같고..

그걸 확인하고자, 지금 없는 진마켓 항공권을 예약해서 볼수도 없는 것이고...


하단의 국제여객운송약관에도 딱히 내용이 나오지 않는다.


예약할때 ' 규정 ' 에 대해서 꼼꼼히 봐야 하는 것은 고객의 역할이지만,

해당 규정에 관해 손 쉽게 볼 수 있도록 고시를 하는 것도 회사의 의무가 아닌가 싶다.


참고로 제주항공은 다음 링크에서 ' 위약금 ' 관련된 내용을 볼 수 있다.

( 제주항공 국제선운임 > 위약금 안내 : 바로가기 LINK


' 제주항공의 특가를 취소했으면, 12만원.. 덜덜덜 '



flyhuman170923_07


제주항공의 ' 위약금 ' 관련 안내 화면

구간당 적용되며, 방금의 경우를 대입하면 총 12만원의 위약금 공제 후 받아야 한다..


' 그럼 18600원이군 ' 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마지막으로, 저렴한 특가를 사는 나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어차피 취소해도 안 아쉬울 정도의 가격의 것을 사자 

2. 일단 특가가 있는 당일은 취소해도 수수료 없으니, 사고 보자

3. 꼭 운임규정을 읽어보자!!

4. 싸게 산 만큼 그들도 운임 책정면에 있어서 이러한 수수료를 적용 할 수 밖에 없는 것.. 규정에 맞게 취소해서 다른 승객에게 팔 수 있도록 하자.


정도...


이제 아쉬우니깐, 이 내용을 비행기 출발일 출발 시간이었던, 9월 23일 8시 20분에 예약을 걸어둬야 겠다.



' 그래도 내년 1월달에 이스타항공타고 겨울 훗카이도 가니깐 괜찮아 ' 방긋~



The End of Story

#flyhuman #humantravel #LJ #진에어 #진마켓 #환불 #항공이야기 #삿포로

겨울... 그리고 Boeing 777-200ER

동경 하네다로 향하는 ANA의 NH58



:: 하얀 겨울, 하얀 신치토세 공항 그리고 B777 ::



2월 초, 겨울의 훗카이도로 짧은 여행을 갔을때 처음 방문한 신치토세공항(新千歳空港)


국내선 터미널 한켠에 자리한 창문에서는 하얀 활주로와 오가는 비행기들을 손 쉽게 볼 수 있었다.






국내선 터미널 한켠에 자리한 곳에서 다음 대한항공을 타고 올 일행을 기다리며, 연신 겨울의 활주로를 오가는 항공기를 카메라에 담았다.


단연, Boeing 사의 777은 그 기나긴 바디가 한 눈에 들어오기 마련.. B777은 역시 하얀 겨울과도 너무나 잘 어울렸다.

( B777의 wikipedia : LINK )


그리고 어느덧 시간이 지나, 나를 데리고 온 진에어 LJ231 편은 이름을 LJ232 로 바꾸어, 인천으로 돌아가기 위해 활주로를 지나가고 있었다.


이름을 LJ232 바꾸어 다시 인천으로 돌아갈 준비를 하던 진에어의 B777

시원시원하게 생겼다


겨울과 잘 어울리는 B777, 가장 좋아하는 기체이니 만큼 이놈을 볼때마다 참 기분이 좋다. :)


' 내 눈에 잘 보이면 더 좋고~ '


Let's Take Off !!!


The Story of Human's Flyplane No.2

#flyhuman #B777 #NH58 #LJ232 #B777200ER #RX100M3


Take off of flyplane Story

#BA6 #flyhuman



:: 이야기를 시작하며... ::


언제부터인가... 적어도 한달에 한번씩 비행기를 타고 있다.


여행이라는 이름으로...

일상이라는 이름으로...

그리고 하늘에서만 느낄 수 있는 ' 마음 ' 이라는 이름으로...


그리고, 좋은 카메라는 아니지만 담을 수 있는 순간이 있다면 최대한 담으려 노력하고 있다.


' 왜일까... '


큰 의미를 두고 싶지는 않지만, 내가 조종하는 비행기가 아니라 하더라도 그 순간을 담고 싶은 것은 


' 그 시간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싶기 때문이 아닐까... ' 라는 생각을 해 본다.


그래서 지금까지 찍어온, 그리고 앞으로 찍을 ' 비행기 ' 의 사진을 짧은 이야기와 함께 남겨 보고자 한다.


:)


:: 成田市さくらの山公園 ::


2016년 12월의 어느 날 OZ102 ( 아시아나 항공, #ICN to #NRT ) 를 타고 나리타 국제공항에 도착하여, 그간 한번 쯤은 가 보고 싶었던 비행기를 찍는 스팟인 ' さくらの山公園 ' 을 가게 되었다.



さくらの山公園, 비행기 찍기 참 좋은 곳이다.


마침 바람이 공원 쪽 활주로를 이륙으로 쓰고 있어서 하늘을 향해 날라가는 비행기들을 소니의 RX100 M3 로 담을 수 있었는데, 내 주위에는 무시무시한 카메라를 들고 있는 분들(?)이 상주(???)하고 있었다.


 

Take Off #GK113 #NRT to #CTS

나리타에서 삿포로로 가는 젯스타 재팬



웅장한 엔진소리와 함께 A320 이 떠오른다. 작지만 공항하고 가까운 탓에 정말 크게 들렸다.

JetStar Japan 은 모든 기단을 A320 으로 꾸미고 있으며, 총 21대를 운영하고 있다.

( 참고 LINK : JetStar Japan Wikipedia  )


우리나라 LCC 가 대부분 운영하는 보잉사의 737 기종과 비슷한 사이즈의 에어버스 기종이라고 생각하시면 된다.


개인적으로 Jetstar 의 은빛의 주황색 도장을 참 좋아한다.

#GK113 #A320 #JetstarJapan


그리고 여러 비행기가 머리 위로 지나갔고,


눈에 뜨이는 또 하나의 비행기가 있었으니.. 그것은 드림라이너...!! 라고 불리우는 Boeing 787.


시원한 엔진소리와 함께 영국으로 기수를 돌리고 있었다.


나리타에서 영국으로 향하는 영국항공의 드림라이너 #BA6

#NRT to #LHR, #B787


영국항공은 이 드림라이너를 B787-8 및 B787-9 로 각 8대 및 16대 운영 중이다. 

( 참고 LINK : British Airways Wikipedia )


개인적으로 처음 타본 드림라이너는 대만으로 향하였던 Scoot 이었는데 꽤나 쾌적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Bye~~~~ Dreamliner ~~

#BA6 #B787


두서없이 첫 이야기를 시작해 보았다.


아직 정리가 안된 비행기의 사진들이 하드 디스크라는 공간에 저장되어 있지만, 이 사진들을 그냥 올리는 것 보다 이야기를 함께 써 나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시작하였다.


그 순간을 담았던 기억을 하나씩 되 살리며, 

그리고 그 기억을 통해 자신이 하늘을 보는 것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리마인드 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라며...


:) 


Let's take off !!!


The Story of Human's Flyplane No.1

#flyhuman #GK113 #BA6 #A320 #B787 #OZ102 #B777 #RX100M3


나를 태우고 온 OZ102 는 OZ101 로 이름을 바꾸어 다시 인천으로 향하였다.

#아시아나 #B777 


국제선이 포함된 대방출을 왜 소셜 커머스에서 할까나...

영업상의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이해는 되지 않은 마케팅 방법이었다.



:: 이스타 항공에 홈페이지 9999-12-31  ::


지난달이었다. 티몬에서 이스타항공의 ' 얼리버드 ' 행사를 한다고 이메일이 날라왔다.


마침 모회사의 ' 페이코 ' 의 포인트를 제법 가지고 있던터라 주말 1박 2일의 홍콩항공권을 생각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었다.


아무튼.... 뭔가 궁금해 졌다.


' 왜 이런행사를 최근에 리뉴얼을 한 홈페이지를 알리기 위해 활용하지 않지? ' 라고..


이스타항공은 최근 홈페이지 리뉴얼을하며, ' Exciting 요금 ' 을 신설하였다. 이 자리는 위탁수하물이 허용이 되지 않는 것으로 가볍고 저렴한 가격의 여행을 지향한다.


보통 이러한 요금제가 신설이되었고, 이정도 가격의 특가 행사를 진행한다면 ' Exciting 요금 ' 을 알리며 마케팅을 진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것이 아닐까?


또한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 Exciting 요금 ' 을 알리며 진행 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티몬을 통해 구매를 한 고객들이 ' 위탁수하물 없는 요금 ' 을 얼마나 이해하고 이 싼 가격을 덥썩 구매하였을지 궁금해지기 시작하였다.


물론 티몬에서는 대규모(??)의 이메일 물량으로 서포트 하긴 했지만, 뭔가 궁금했다. 그냥 궁금했다.  



' 뭐 내가 싸게 사면되지만 ' ;;;



그리고 이 항공권은 구매 후에 ' 제반 세금 ' 을 이스타항공의 홈페이지를 통해 별도로 결제를 해야하는 티켓이었다. 


그래서 인천발, 홍콩발 각 항공권의 예약번호가 문자를통해 날라오면 그것으로 조회를 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것이다.


숙지하고 이었던 나는 친절하게 문자가 날라와서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 예약조회 - 소셜커머스 ' 라고 되어 있는 부분으로 들어가서 결제를 진행하고자 했다.


개인적으로 이스타항공이 홈페이지에서 ' 소셜커머스 예약 조회 ' 기능을 만들어둔 것은 상당히 좋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예약관리를 ' 유기적 ' (???) 으로 하고 있다는 이미지 때문이었다. 


하. 지. 만. ;;;


티몬에 분명히 생년월일이 정확하게 들어가 있었는데, 이스타항공의 조회 화면에는 9999-12-31 로 표기되어 있다.



그런데 조회를 해 보니 내 생일이 ' 9999-12-31 ' 로 들어가 있는 것이다. 


이 경우는 두가지 케이스가 있다.


1. 티몬에서 고객정보가 영문이름&성별 만 남어간 경우로 생년월일을 아무것도 기입하지 않을경우의 ' 9999-12-31 ' 로 Default Setting 을 해두었을 경우

2. 오류가 났을 경우 ( 아마 이건 아닐 것 같다 )


하지만, 티몬은 최근 ' 티몬여행 ' 을 강하게 밀고 있으며, 고객의 여정정보를 기본적으로 받게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생년월일이 명확하게 표기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스타 항공의 ' 9999-12-31 ' 이 여간 신경쓰이는것이 아니었다. 


그리고, 일전 이스타 항공 티켓팅을 할때 기입 해둔 여권유효기간이 9999년으로 들어가 있어 현장에서 수정을 해본 경험이 있기에 시스템적인 오류가 아닐까 라는 의심 아닌 의심을 하게 되었다.


보통 항공권을 구매할때 ' 여권번호 ' , ' 생년월일 ' 까지 넣지 않아도, ' 영문 이름 ' & ' 성별 ' 정보만 명확하게 기입이 되어있다면 공항에서 티켓팅 할때 항공권을 수령하는데 문제가 없다.


다만, 우리나라 여행사 및 온라인 항공 사이트에서는 상호 편의를 위해 여권정보를 포함한 모든 개인정보를 사전에 기입하도록 권유(또는 의무화)하고 있으며 실제로 항공권을 구매할때 그러한 정보를 모두 넣고 구매하는 패턴이 일반적이다.


받지 않아도 되는 정보라면 정확하게 받지 않고 현장에서 처리하게 해야할 것이며,

이왕 받아서 처리할 것이면 ' 정확 ' 하게 처리하는 것이 예약확인을 하는 고객의 불안감을 조금이라도 해소 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최근 몇년간 우리나라의 각 항공사의 홈페이지에는 많은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다만, ' 홈페이지의 외모 ' 에만 신경을 쓴 나머지 ' 정확함 ' 이 생명인 ' 시스템 ' 이라고 불리우는 것에는 얼마나 고려하고 있는지 의아하다.


아울러 이스타 항공은 최근에 포스팅을 했던 ' 결제 금액 ' 이상과 관련해서도 아무런 코멘트나 회신도 없이, 

( 문의는 이스타 항공의 SNS 을 통해서 했었다 )


해당 금액이 잘못된 것을 스리슬쩍 수정 한 것으로 일단락 하였다. 


이스타 항공의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고객이 


' 마케팅 ' 을 ' 인지 ' 하고

' 합리적이다 ' 로 ' 판단 ' 하였으며,

' 사자 ' 라고 ' 결심 ' 한 고객을 만들었다면, 그에 맞는 정확한 시스템이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을 한다.


조금은 투박해도 자주 들어가게 되는 ' 피치항공 ' 의 홈페이지나, ' 젯스타 ' 의 홈페이지가 그러한 것 처럼 말이다.


당장 내일 이스타 항공을 타고 오키나와에서 한국으로 돌아가기에...

요즘 꽤 많이 타는 항공사이기에 그 아쉬움은 더 하기만 하다.


과연...


The End of Story

#flyhuman #humanmkt #humantravel #ze #이스타항공 #항공마케팅이야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