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인문학 - 브라운스톤(우석)



올해의 두 번째 책은 네이버 카페의 ‘부동산 스터디’에서 ‘우석’ 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한 브라운스톤의 ‘부의 인문학’이다.

이 책 또한 1쇄가 2019년 10월 4일에 나왔는데 최근 106쇄까지 찍을 정도로 핫한 서적이다.


저자가 접한 여러 인문학자의 지식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서적을 통해 ‘거인’이라고 표현한 세상과 세월이 인정한 그들의 어깨에 올라서서 전략적으로 투자를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같은 정보를 보더라도 남들과 다른 해석 능력으로 자신만의 전략을 만들어야 하며 그러한 해석능력은 독서에서 온다고 강조한다. 우리 곁에는 항상 최고의 경제학자, 철학자, 심리학자가 책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서두는 ‘금본위제’가 사라지면서 자본주의의 게임 법칙이 시작되었다고 설명한다.

베트남전을 기점으로 보유한 금보다 돈을 마구 찍어낸 미국이 더이상 자국의 달러의 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달러를 받더라도 금을 내어주지 않겠다고 한 뒤 ‘금본위제’ ( 금을 기준으로 한 화폐의 가치 )가 사라졌고 그 뒤로 어느 나라든 화폐를 찍어낼 수 있는 환경이 되었는데, 나라는 경기가 침체되면 화폐를 찍어내면서 그 위기를 벗어날 수는 있지만, 인플레이션을 벗어나지 못함을 이야기한다.


시장에 돈이 많이 풀리는 과정은 빚(대출)이 늘어나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설명한다.

이는 현재 코로나 상황에 놓인 여러 나라와 비슷한다. 각 나라의 사정에 따라 화폐를 찍어내며 대응하는 방법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따라 실물 자산 가치( ex. 부동산 )가 올라가는 건 자명한 사실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각 정권의 사정에 따라 부양책의 강도에 따라 부동산의 가격이 올라간 이유를 이해할 수 있는 대목이었다.

지금과 같은 저금리 시대에 시장에 풀리는 돈이 ‘돈 자체’ 만으로는 가치를 올리기 쉽지 않은 시장상황이 계속되기 때문이다.


책은 다양한 인문학자의 말을 빌려 ‘부’에 관해 설명하는데 ‘모든 인플레이션은 화폐적 현상’임을 이야기한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 기업의 경쟁 강도를 결정짓는 5가지 경쟁요소를 소개한 마이클 포터(Michael Eugene Porter), 시장 경제에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지 않아야 하며 임대료 통제 정책은 결과적으로 실패할 것이라고 한 프리드리히 하이에크(Friedrich August Von Hayek)의 이야기 등을 인용하며 광범위한 ‘부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혁신산업은 풍부한 인재, 지식전파, 인프라를 바탕으로 성장하기에 제조업과 다르게 ‘뭉침의 힘’이 작용하는 장소를 근거지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부동산 가격의 변동이 발생한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이를 우리나라에 반영하면 서울은 아주 매력적인 부동산 투자처가 될 수 있다는 것도 강조 하는 점도 생각만으로 ‘아~’했던 것이 조금은 정리되는 느낌을 받게 해주는 내용이었다.


이는 애드워즈 글레이져(Edward Glaeser)의 ‘도시의 승리’, 애덤 스미스(Adam Smith)의 ‘국부론’, 데이비드 리카도(David Ricardo)의 ‘비교 우위론’도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으로 소개하였다.

또한, 리카도의 ‘차액지대론’을 바탕으로 ‘서울의 똑똑한 집 한 채’라는 표현 쓰고 있는데 최근 상황에 비추어보면 아주 적절한 표현이 아니었나 싶다.


제임스 뷰캐넌(James M. Buchanan)의 공공선택이론(public choice theory)에 따르면 정치인이나 고위 공무원의 나라를 챙긴다는 정책은 실상 본인들의 잇속 챙기기 바쁘다는 것을 설명한 원리인데 일부는 공감이 가는 부분이다. 

또한, 규제 중에 서울의 재개발/재건축 제한과 관련해서도 비판적인데 이는 결국은 될 것을 비효율과 낭비를 불러일으키는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이에 대한 건 뷰캐넌의 ‘정부가 정치적인 압력을 받아 가면서까지 현명한 경제정책을 시행하리라곤 기대하지 말라’라는 문구로 뒷받침하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 전세가 규제조치 등이 가져온 현상과 소액 임대차 보호법이 가져온 부정적인 영향에 관해서도 설명하고 있고, 1가구 다주택 규제에 대해서도 애덤 스미스의 ‘곡물 중간상인’에 대한 이야기로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흥미로운 내용이었다.


부동산관련 이야기를 풀어낸 뒤 저자는 ‘주식’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일단 케인스의 투자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데 ‘경기 예측에 따른 타이밍 투자 방식은 불가능하며’, ‘인간의 능력으로는 주식을 살 타이밍을 예측할 수 없다.’라는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투자 포인트를 안내하고 있다.

‘소수의 투자자 편에 서라, 집중투자 하라, 장기 투자하라, 신용 투자 하지 마라, 하루하루 시장의 변동을 무시하라, 주식 가치 측정은 계량적으로 하기 어렵다, 싸게 사라’ 

하나 같이 경험이 부족한 내가 보기에는 머리로는 이해되면서 행동으로 옮기기 쉽지 않은 것들인 것 같지만, 주식 투자의 방향을 잡을 때 필요한 좋은 조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댓값에 기대어 투자하는 방법과 존 켈리(John Kelly)의 켈리 공식에 따른 투자 비중을 결정하는 과정도 흥미로웠다.


프랜시스 골턴(Francis Galton)의 ‘자연은 평균으로 회귀하는 속성이 있다’라고 하는 이론을 바탕으로 저PER과 저PBR 주에 투자해야 함을 소개한 것도 꽤 흥미로웠는데 이는 단순하게 그렇게 해야 한다가 아니라 주의해야 할 점도 함께 소개하여 재미 요소를 준 부분이었던 것 같다.


해리 마코위츠(Harry M. Markowitz)의 포트폴리오 선택이론, 유진 파마(Eugene Francis Fama)의 효율적 시장 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EMH), 넛지(Nudge)로도 유명한 리처드 세일러(Richard H. Thaler)의 ‘주가는 과잉 기복 하는가’ 등등의 예시로 든 내용으로 평소에 생각했던 ‘주식 투자’ 에 대한 이해나 방법론 등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심리학자로는 처음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대니엘 카너먼(Daniel Kahneman)의 ‘손실에 대한 고통이 이익의 기쁨보다 2.5배 강하다’라는 주장을 바탕으로 ‘두려움을 극복하며 한 살이라도 빠르게 투자자가 되어야 함’을 설명하고 있고, ‘투자하지 않는 것이 가장 위험함’도 함께 이야기하고 있다.


이상과열(Irrational Exuberance)이란 책을 출간한 로버트 실러(Robert James Shiller)의 이야기로 그가 자산에 ‘거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예측하는 내용도 흥미로웠는데 이는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에 받는 여러 상황적 압박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설명하고 있기에 숙고해볼 필요가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됐다.


소스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은 ‘낭비하고 과시하라, 그러면 존경을 받을 것이다’라고 이야기하며 상대적 빈곤감을 이야기하고 있고, 폴 로머(Paul Romer)는 그가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내생적 성장 이론(Endogenous Growth Theory)을 통해 지식과 기술에 따른 폭발적인 부의 상승을 이끈다는 것을 바탕으로 왜 해외 주식을 한다면 미국 시장을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소위 ‘20대 80’의 법칙으로 알고 있는 파레토 최적(Pareto optimum)을 도입한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의 발견을 통해 부의 배분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부동산의 양극화 이야기와 주식 종목의 분산투자 이야기까지 풀어내고 있다. 흥미로운 주제가 아닐 수 없었다.


전통을 넘는 창조적인 것이 필요함을 이야기하며 혁신 기업에 투자해야 함을 역설한 조지프 슘페터(Joseph Alois Schumpeter), 자본 수익이 급여 수익보다 높음을 주장한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 의 이야기는 지난주에 책을 읽으며 생각한 ‘경제적 독립’과 관련해 많은 고민을 하게 해 주었다. 


투자를 망치는 ‘빠른 생각’은 지양하고, 이성적인 판단으로 ‘느린 생각’으로 투자해야 함을 강조한 것도 시사하는 점이 있었다. 지난 나의 투자 패턴을 반성하게 되는 부분이었다.


저자는 한비자의 이야기로 ‘인간의 본성’과 미중 전쟁이 한국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결국 본능에 의해 사는 구석기적 판단을 하는 인간이 ( 인간의 800만 년 역사 중 799만 년을 구석기인으로 살아왔기에 표현한 것 ) 이러한 본능을 이해하고 극복해야 한다고 한다. 저자가 발견한 본능은 9가지로

‘무리 짓는 본능, 영토 본능, 쾌락 본능, 근시안적 본능, 손실 공포 본능, 과시 본능, 도사환상, 마녀환상, 인식 체계의 오류’로 정의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읽은 이 각자가 자신의 본능을 돌아보고 이를 어떻게 극복해야 할지 방법을 찾으라는 숙제로 마무리한다.


처음에 책 제목만 보았을 때는 어떠한 방법으로 인문학과 부를 접목할 줄 생각하지 못하였다.

고리타분한 인문학적 소양을 글로 표현한 건 아닌지라는 생각도 들었을 정도니 말이다.


이 책 또한 메모지를 옆에 두고 3시간 정도 거침없이 읽었다.

그만큼 최근 고민이 되는 지점을 여러 예시와 ‘거인의 이야기’로 안내하고 있는 부분이 좋았고, 소개된 학자들의 개별적인 책은 한 권씩 섭렵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점점 책 읽은 후기(?)가 독후감처럼 되어가고 있는 것 같다.

책의 내용을 복기하기 위해 적은 것이라는 목적은 변화가 없으며, 앞으로도 책을 읽으며 메모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후에 다시 읽어가며 놓친 부분을 다시 리마인드 하는 수단으로 쓰고 싶다는 생각이 더더욱 드는 그러한 책을 읽은 것 같다.


자 다음 책은 뭘 읽어 볼까? :)


2021년 휴먼의 독서 - 두 번째 이야기

#부의인문학 #브라운스톤 #우석 #부 #인문학 #이야기 #이것은 #리뷰 인가 #독후감 인가 #감상문 인가




돈의 속성 - 김승호



올해 목표 가치로 ‘투자’를 세웠기에 그에 맞는 서적들을 읽어 보려는 중에 올해 첫 책으로 벌써 100쇄를 찍었다는 김승호 님의 ‘돈의 속성’을 2021년 첫 책으로 읽어 보았다.


300쪽이 남짓 되는 책은 이분이 정의한 여러 문장을 경험과 더불어 설명해둔 쉬운 설명으로 순식간에 읽은 것 같다.

순식간에 읽혀진 책치고는 기억에 남는 구절들이 참 많았는데 뒤에 다시 복기하기 위해 정리 해 보았다.


저자는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네 가지 능력인 ‘돈을 버는 능력’, ‘돈을 모으는 능력’, ‘돈을 유지하는 능력’, ‘돈을 쓰는 능력’을 골고루 길러야 한다고 설명했다.


‘작은 돈을 함부로 하지 않고, 큰 돈은 마땅히 보내야 한다.’라는 문구는 평소에 생각하고 있던 것과 맞아떨어져 반갑기도 하였다.


경제 금융 용어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어설프게 아는 용어가 아닌 투자를 위해서는 핵심 금융용어에 대해서는 단어에 관해 설명할 수 있을 정도까지 이해하며 투자에 임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명치를 맞은 느낌이었다.


‘돈의 성질’에 대해 정의한 것도 재미있었다. 나쁜 성질을 가진 돈은 되도록 줄이고, 좋은 성질을 가진 돈의 비중을 늘리라는 것.

나쁜 성질을 가진 돈은 대부분 쉽게 들어와 쉽게 나갈 수 있는 돈이라 칭했다.

불가피하게 나쁜 성질을 가진 돈이 들어오더라도 좋은 성질의 돈과 잘 섞이어 성질의 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말도 일리가 있었다.


반복되는 운은 실력이며, 반복되는 실패는 습관이라 했다.

지금까지 내가 했던 허울뿐인 ‘변명’도 스쳐 지나가는 문장이었다.


주식은 회사의 본질을 이해하며, 주식을 보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돈의 성질이 좋아야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가 가능하며 싸게 살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 다만, ‘싸다’라는 관점은 매수자의 타이밍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 또한 공감이 갔다. 

주식은 온전히 자기자본으로 해야 한다는 것도 나 같은 주린이가 세워야 할 철칙으로 느껴졌다.


돈의 속성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복리’를 이해해야 하고 그 특성을 활용한 투자처를 발굴해 내야 한다는 것.

근로소득보다 자본소득이 높아지는 날이 비로소 ‘독립 기념일’이 되는 것,

월급날을 기다리는 월급쟁이 신분이지만 ‘자본소득’과 관련한 진중한 생각을 하게 되는 목표점이 생기는 것 같다.


자랑을 위한 소비가 아닌, 필요를 위한 소비를 해야 하는 것.


‘남의 돈을 존중할 줄 아는 사람에게는 밥값을 몇 번 더 내줘도 되지만, 당연시 여기는 사람들까지 챙기면 내 돈이 나를 욕한다.’라는 것은 ‘돈의 속성’을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쉬운 예를 통해 비유한 내용이었던 것 같다.


나 자신을 올바로 이해하여 ‘좋은 부채’, ‘나쁜 부채’를 구분할 줄 알며, ‘좋은 돈’이 찾아올 수 있도록 흐름을 만들어나가는 것 또한 중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자산’이라고 정의한 것이 올바르게 ‘일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만드는 것 또한 중요하며, 그것을 위해서는 부단히 공부하고 실행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겠다는 다짐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읽는 종종 '부자는 천천히 되는 길이 가장 빠른길' 임을 강조하고 있다.

내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가진 '조바심'을 지적하는 것 같았다.



무엇보다도 ‘나’는 ‘내 자신’이라는 비즈니스를 경영하는 경영자로 생각하여, 내가 가지고 있는 시간적, 물질적 재화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절실하게 느낀 것도 올해 하고자 하는 목표점과 맞아떨어지는 점이 있었던 것 같다.


두량(頭凉) 족난(足煖) 복팔분(腹八分), ‘머리는 시원하게 발은 따듯하게 먹는 것은 20% 부족하게끔 적당하게...’

특히 복팔분은 主食에서도 株式에서도 지켜야 할 것이라는 말은 여러 가지를 시사했다.



개인적으로 저축이라는 게 투자의 척도고 기본이라고 오래오래 생각했다.

부동산 또한 관심 따위 없었고, 소소한 지식과 미천한 경험으로 ‘난 그래도 조금 투자를 해’라고 한 것이 부끄러웠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스스로에게 자유를 줄 수 있는것은 사업을 하는 것’이라는 명제는 당장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아직 능력도 안되지만,

적어도 내가 등한 시 했던 ‘돈의 속성’과 ‘돈의 성질’ 그리고 내가 앞으로 ‘돈을 대하는 자세’를 어찌 만들어 갈지에 대한 것이 조금은 정리가 된 나에게는 참 필요했던 책이었던 것 같아 기분 좋게 읽었던 것 같다.


책에서 소개한 중용의 능구(能久)의 구(久)는 지속의 의미로 무엇이든 꾸준히 해야 하며 그 기간은 3개월 이상이 되어야 함을 뜻하는데, 올초 목표로 한 것들 앞으로 4개월 정도의 시간을 두고 다짐한 만큼 그 다짐이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이를 공부(工夫)와 병행해서 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겠다 라는 생각을 했다.


2021년 첫 책을 너무나 즐겁게 읽었고, 왜 100쇄까지 찍었는지 알것 같다.


앞으로 올해 만날 다양한 책의 좋은 시작이길 바라며, 올해는 ‘돈의 속성’을 이해하고 내가 버는돈에 감사하고 쓰는돈에 더욱 신중한 한해를 만들어봐야겠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출판사는 '스노우폭스북스'로 저자가 대표자로 있는 회사로 2020년 4월에 이 책이 출간된 시기에 오픈된 회사이다.

저자가 이 책을 준비하며 단순히 '책쓰는 일'이 아닌 이것을 바탕으로 응당 출판사에 기대어 출판하는 것이 아닌 책에 대한 성공을 확신을 하여 내용을 준비했음을 알수있는 대목이었다.


짱이예요 :)


2021년 휴먼의 독서 - 첫 번째 이야기

#돈의속성 #김승호 #투자 #돈 #독서 #이것은 #리뷰 인가 #독후감 인가 #감상문 인가




뮌헨으로 가는 ICE #iphoneX


:: 독일 맥주 하면 뮌헨 ::


전날의 기나긴 하루가 지나고 여전히 맥주의 나라 독일에 있다.

오늘은 맥주의 나라에서 가장 맥주로 유명한 도시 뮌헨으로 간다.

아침 이른 시간 잠에서 깨었다. 뮌헨으로 향하는 ICE를 타기 위해서였다.

게스트하우스의 같은 방 사람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준비를 하고, 독일의 첫 여정을 함께 한 호스텔을 나섰다.


베를린 A&O Hostel 독일 전역에 체인을 가지고 있는 호스텔이다 #iphoneX


아침 해가 어스름하게 올라오는 시간 베를린 중앙역으로 향하였다. 

뮌헨으로 향하는 ICE 열차가 기다리는 곳이다.
그곳에서 베를린의 아침을 맞는 이들과 함께 열차를 기다리기로 했다.



베를린 중앙역 #iphoneX



커피 한잔을 주문했다. #iphoneX


열차 시간은 많이 남지 않았지만, 커피 한잔을 마실 시간은 충분하였다.

잠시나마 이들의 틈에서 자연스럽게 독일의 아침을 맞이해 본다.

‘ 어디가 좋을까? ‘ 하고 둘러보던 차에 익숙한 이름의 카페가 있어 들렀는데..
그 이름은 아인슈타인 ‘ EINSTEIN ‘



EINSTEIN Coffee shop에서의 커피 한잔 #iphoneX


베를린 중앙역은 많은 사람과 여행자가 오가는 곳이다. 

오가는 다양한 사람들이 커피 한잔을 주문하고
테이크 아웃을 하고,
자기의 자리를 찾아 앉았으며,

다시금 자신의 갈 곳으로 발걸음을 돌렸다.



다음으로 발걸음을 돌린 곳은 역 내 슈퍼였다. #iphoneX


REWE city는 구글 지도 안에서 ‘Supermarket’으로 검색하면 쉽게 볼 수 있는 곳으로 베를린 중앙역에서도 ICE를 타는 플랫폼 바로 위 층에 자리 잡고 있었다.

슈퍼마켓 REWE 에서 아침으로 먹을 샐러드를 샀고, 당을 채워줄 초코릿까지 사고 다시 플랫폼으로 향하였다.


각자의 목적지로 향하는 탑승객들 #iphoneX


탑승 수개월 전에 독일의 철도 앱인 DB(Deutsche Bahn)를 통해 예약하였지만, 이렇게 많은 사람이 함께 탑승할지는 몰랐었다.
그럴 것도 그런 것이 이 ICE는 뮌헨까지 가는 열차였고, 그곳에서는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Oktoberfest가 열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처음에 비어있던 기차 안은 점점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하더니 한량을 꽉 채웠다.

사전에 예약을 하여 차량의 한 쪽에 혼자 앉는 곳에 자리를 잡은 것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로 독일의 장거리 열차는 미리 예약하면 취소 불가 조건등을 붙여서 상당히 저렴하게 예약을 할수가 있다.



바로 식사를... 샐러드 from REWE city #iphoneX


아침 식사를 간단히 마치고 본능적으로 생각이 나는 것이 있었다.

‘맥주를 마셔야겠다’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바로 옆의 식당칸으로 향하였다.



식당칸의 메뉴판 #iphoneX


식당칸으로 옮겨 바로 메뉴판을 집어 들고 맥주 리스트를 보았다. 

‘응? 에딩거 500ml 가 4유로?’

무엇을 마실지도 결정하지도 않았는데, 나의 눈은 메뉴판의 ‘EDINGER’이라는 이름에 가 있었다. 그리고 식당칸을 지키고 있는 직원에게 손가락으로 당당히 

‘Please’라고 말을 건네며 미소를 지었다.



EDINGER @DB&ICE #iphoneX


식당칸에서 바라보는 멋진 가을의 풍경 그리고 아침에 마시는 맥주.
이 모든 것이 ‘여행’이라는 한 단어가 가져다주는 선물이 아닌가.

뮌헨까지는 꽤 많은 시간이 남아있었고, 내 좌석도 별도로 있었지만, 이 경치와 맥주 맛이 주는 공간을 그냥 벗어날 수는 없었다
두어잔을 더 마시고 나서야 나는 다시 나의 자리로 돌아갔다.

'한잔 더' 는 뮌헨에서 하기로 하고 말이다.



왜 맥주를 마시는 이들이 안보이는거지 #RX100M3



Oktoberfest @Munich #iphoneX


그토록 가을에 오고 싶었던 이곳.
왠지 얼굴이 벌건 사람들 밖에 안 보이는 것 같은 느낌이었지만 그것이 더욱 이 도시에 맞는 계절에 온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나의 버킷리스트 중 하나를 지우는 순간이다.

‘옥토버페스트 기간에 뮌헨에 가기’



숙소는 중심가에서 조금 떨어진 Leuchtenbergring 역 근처로 잡았다. #iphoneX


옥토버페스트 기간의 숙소 가격은 상상을 초월한다.
사실 이 기간에는 어디를 가도 비싸기 때문에 10만원 가까이하는 중앙역 근처의 게스트하우스에 묵고자 하였지만,

여행자는 다 계획이 있는 법.
내가 활용한 방법은 ‘호텔 포인트로 예약하자’ 였다.

호텔 체인 중의 하나인 IHG 의 포인트를 특정한 기간에 구매하여 100% 추가하여 이 기간 1박에 약 30만원 가까이하는 Holiday Inn 호텔을 2박에 약 20만원 정도에 예약하였으니 말이다.

일명 포숙이라고 하던가...

아무튼 나는 이 초 성수기에 시설이 꽤나 좋은 호텔에 묵을 수 있었다. 게스트 하우스에 묵는 가격으로 말이다.



자 이제 나가볼까? #iphoneX


예약한 Holiday Inn Munich - Leuchtenbergring 에 도착하여 체크인하고 보니 호텔 방은 생각보다 넓었고 무려 더블베드를 주어 넓게 잘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뮌헨 시내에는 몇몇 Holiday Inn 호텔이 있었지만, 이곳이 적당한 포인트로 숙박할 수 있었고, 역에서 가까웠기 때문에 선택하였다.

꽤 넓은 데다가 근처에 슈퍼까지 있으니 입지도 너무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 뮌헨 시내로 나가 마리엔 광장을 살짝 보고, 뮌헨 맥주를 마시러 가자!’



나름 자주온 뮌헨이기에 친근한 뮌헨 시청 #iphoneX


시내로 나가니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뮌헨의 가을을 만끽하고 있었다.
축제 기간이라 그런지 어디를 가나 사람이 가득하였지만 모두의 얼굴에는 많은 사람 속의 짜증이 아니라, 무언가에 홀린 듯한 즐거움이 묻어났다.

나도 그 속에 함께 있는 것이다.

‘가을의 뮌헨에 있는 것이다’



먹음직한 학센바우어 #RX100M3



그리고 맥주 #iphoneX


시청 근처에 있는 Schneider Weisse 에는 이미 많은 사람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옥토버페스트가 열리는 곳만큼은 아니지만, 이곳의 분위기를 즐기려는 수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테이블에 적지 않은 맥주잔을 올려두고 각자의 언어로 대화를 하고 있었다.

‘이곳 맛있지 않냐?’
‘한잔 더해!’
‘오늘은 몇 시까지 놀래?’
‘내일은 어디 갈까?’

내가 모르는 언어를 맥주 한잔하며 귀 기울이며 마음대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주위의 분위기도 내 여정에 함께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



몇 잔째였는지 기억이 안 난다 #RX100M3


1차(?)를 마치고 다시금 뮌헨의 밖의 공기를 마시러 나와 도심의 곳곳을 걸어 보았다.

딱히 어디를 가야 한다는 것 없었다. 그냥 발길 닿는 대로 걸을 뿐...
때로는 그런 것이 더 기억에 남는 하루가 될 것이기에.



한 잔하고 나오니 슬슬 해가 지고 있었다. #iphoneX



어딜가도 들어가고 싶은 곳 투성이다 #RX100M3



뮌헨 거리에는 당장이라도 들어가서 함께 하고픈 가게들이 즐비했다. #iphoneX



해는 뉘엿뉘엿지고 ‘한잔 더 해’라고 이야기하는 것 같았다 #iphoneX


이전에 뮌헨에 왔을 때는 마리엔광장을 중심으로 중앙역을 오가는 곳만 걸어보았지만, 이번 여정은 좀 달랐다.
여행자가 안 갈만한 길을 걷고 또 걸으며 그냥 축제 기간 이 동네를 사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뮌헨의 곳곳에는 여행 책자에 소개된 곳 이외에도 들어가고 싶은 곳이 너무나 많이 보였고, 그중 한곳을 2차(?)의 장소로 결정하였다.



역시 맥주 한잔을 더 시켰다 #iphoneX


우연히 들어간 가게는 Trumpf oder Kritisch 라는 곳으로 직역하면 ‘으뜸 혹은 위기’ 라는 뜻인데.
잘하면 승리? 못하면 위기? 뭐 그런 원초적인 가게 이름이다.

힘이 느껴지는 독일어만 들리는 것 보니 분명 동네의 술집에 온 느낌인데.

맥주 맛까지 강열하게 목을 스쳐지나가니 기나긴 오늘 하루를 마무리 하기에는 재격인 술집에 들어온 그런 느낌이었다. 
종업원은 이 축제 기간에 옥토버페스트 텐트가 아닌 이 가게에서 한잔하는 우리를 이상하게 쳐다보는 느낌이었지만, 이내 곧 분위기를 즐거운 모습에 미소를 보내준다.

생각해보니 이날 마신 맥주의 잔이 꽤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슬슬 숙소로 돌아가 내일을 준비한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충분히 마셨다' 라고는 생각이 들지 않았던 것은 그냥 뮌헨에 왔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숙소로… 아니 호프브로이하우스로... #RX100M3


새벽에 베를린에서 시작한 일정은 뮌헨의 이름 모를 지역의 동네 술집에서 끝내게 되었다.

솔직히 숙소에 돌아오는 길에 호프브로이하우스 를 살짝 들러서 분위기를 보긴 했지만, 
그곳까지 즐기기에는 이날 너무나 많은 맥주 친구들을 만났다는 생각이 들어서 우버를 불러서 호텔로 돌아가게 되었다.

하루가 지나가는게 아쉬운 순간, 호텔로 돌아가는게 아쉬웠던 그 순간.

하지만, 분명한 것은 

가을의 뮌헨은 
그냥 한잔함에 끝이 없으며,
분위기에 취해 한잔함에 끝이 없으며,
즐거움에 취해 한잔함에 끝이 없으며,
축제가 주는 기분으로 한잔함에 끝이 없는 그런 곳이다.

버킷리스트의 한 줄을 지우는 가을 뮌헨에서의 첫날이 이렇게 지나간다.

내일은 그 도시에서 조금 떨어진 잘츠부르크에서의 하루를 보낸다.
그 여정 또한 즐거움에 취한 그러한 하루가 되길 바라며...


2018년 휴먼의 유럽 여행 No.6
#2018유럽여행 #2018Europe #유럽여행 #휴먼의유럽여행 #humantravel #RX100M3 #iphoneX #뮌헨 #Munich #ICE #맥주 #BEER #맥주축제 #옥토버페스트 #한잔 #두잔 #세잔 #또마셔 #가을뮌헨 #독일 #Germany #GermanBeer #버킷리스트



호프브로이 하우스의 천장이다 #iphoneX

나의 10대, 20대 그리고 30대를 만들어준 소중한 것들.


2019년이 된지도 벌써 10일이 지났다.


누군가는 반성을,
누군가는 다짐을,
누군가는 꿈을,
누군가는 건강을 이야기 한다.

2019년이 되면 나의 지난 시간을 만들어준 것들에 대해 한 번쯤은 정리하고 싶었다.

그리고 나의 10대, 20대 그리고 30대의 시간을 만들어준 소중한 것들을 기억하고 정리해야
2019년을 더더욱 후회없이 보낼 수 있지 않을까...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오렌지로드 한국판, 일본판 그리고 해적판 테잎


:: 나는 마도카 같은 여자를 만나고 싶었는지 모른다 - Orange Road ::


중학교 시절 절친 이었던 HJW 이
라는 친구에게 처음 빌려서 보게 된 SF 순정만화(?) Orange Road.
추후 만화방(or 서점) 에서 모두 사 모으게 된 그런 만화였다.

100과 99의 숫자로 만나게된 주인공 쿄우스케와 마도까 그리고 히카루.

지금은 캐릭터의 하나하나의 특성까지 기억은 못하지만, 분명한 것은


그 어린 시절,

' 마도까와 같은 여자를 만나고 싶다 ' 라는 생각을 했다는 것이다.


또한 Orange Road 는 만화 말고도 애니매이션 버전의 OST 도 훌륭한데,
SF 순정만화라는 장르 이상의 음악 수준으로 10대를 지나 20대에서도 꽤나 오랫동안 그 음악을 접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가장 기억에 남는 음악은
夏のミラージュ , Embrace that sky Kyouske No.1 이 아닐까 싶다.


이승환 그리고 HUMAN 그리고 나


:: 휴먼의 시작 - 이승환 4집 HUMAN ::


중학교 3학년 시절이었다.
무언가에 쫓긴듯 하루하루를 보냈던 그런 시절.


우연히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음악
을 듣고, 무언가에 홀린듯이 레코드샵에 가서 산 앨범이 있었다.
그것이 바로 이승환의 4집 ' HUMAN ', 노래는 ' 내가 바라는 나 ' 라는 곡 이었다.


고등학교 때 부터 시작한 ' 나우누리 ' 의 소위 닉네임 이라는 것을 ' 휴먼 ' 또는 ' HUMAN ' 이라고 지은 시작이 되었고,
난 이승환의 팬이 되었다.


나의 10대를 만들어 주었고, 음악이라는 것이 주는 힘을 알게해준 그런 계기...
그리고 음악을 사 모으는 시작이 되었던 그런 가수 ' 이승환 ' 

2019년이 된 지금도 ' 휴먼 ' 이라는 이름을 준 그 이상의 의미를 그의 음악이 주고 있다.

그리고 현재를 살고 있는 가수가 가진 용기는 나 또한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살아가는데 큰 힘이 되고 있다.


이전 만큼의 팬심은 아니지만,
나의 10대를 만들어준 그 가수가, 지금도 변함없이 세상을 향해 외치는 것들을 지지하는 마음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 다양한 만남과 사랑의 관계를 인정하게 된 영화 - Love Actually ::


Love Actually 라는 영화는 제대를 하고 갔던 캐나다의 Regina 라는 곳에서 자막하나 없이 보았다.


사실 당시 내용의 100%는 절대 알리가 없었지만,
내용 하나하나에 귀 귀울이고,
장면 하나하나에 눈을 집중했다.


그들이 보여주는 그들의 이야기, 수상부터 아이까지 가지고 있는 그들만의 이야기.


그 이야기는 뒤에도 잊혀지지 않아, 유럽여행 시절 대본책을 사서 영화와 함께 보기에 이르렀다.


사랑에 필요한 열정 그리고 고민들,
누군가를 만나고 싶으면 달려가 봐야했던 그 행동.


그 영화를 보지 않았다면 가능했을까? 그런 생각을 해 본다.


Good Day & Good Luck.


:: Good Luck 그리고 비행기 ::


내가 일본 드라마를 처음 본 것은 오다유지(織田裕二)의 '
춤추는 대 수사선'(踊る大捜査線)이었다.
재미로 보기 시작했던 일본 드라마였지만, 재미로 본다 그 이상의 감흥은 없었던 것 같다.


그러다 알게 된 'Good Luck' 이라는 드라마.
열정적인 부조종사역인 신카이의 이야기를 통해 기무라타쿠야(木村拓哉)라는 가수이자 연기자를 처음 알게 되었다.


Good Luck 은 결과적으로 나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20대의 내가 

시력 문제로 시도조차 하지 못했지만 조종사의 꿈을 꾸게 만들어 주었고,
서른번을 넘게 돌려보면서 대사를 다 외워버린 덕에 일어를 하게 된 계기를 만들어 주었으며,
드라마의 에피소드를 만드는 '극단적인 스토리' 를 차지하고 비행기를 한 대 날리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협업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10년이 넘는 드라마를 여전히 가끔 돌려보는 이유는
30대의 내가 '비행기를 타는 즐거움' 과 ' 하늘을 보는 또 다른 생각'을 지니며 살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어떠한 방법으로 하든 하늘에 대한 꿈을 만들 수 있다는 다짐을 만들어주는 드라마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Good Luck 그리고 Good Day 를 누군가에게 바라며 건내며 말이지...


:: Queen 과의 만남 - Pride(プライド) ::


Good Luck의 주연을 맡은 기무라타쿠야와의 만남은 그 뒤로 그의 드라마를 챙겨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듬해 나왔던 드라마가 아이스 하키를 주제로 한 Pride 라는 드라마였는데, 
이 드라마는 오프닝곡, 삽입곡, 그리고 엔딩곡의 대부분을 Queen 의 노래로 채워 넣은 것이 특징이었다.


사실 Queen 이라는 가수에 대해서는 이름만 종종 들었을 뿐, 음악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했다.


하지만, 이 드라마를 통해 삽입곡 대부분을 알게 되었고
' I was born to love you ' 라는 곡은 2004년 ~ 지금까지 내 컬러링의 한켠을 담당하는 그런 곡이 되었다.


그의 음악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듣게 된 것은 덤이었고,
2018년 프레디머큐리(Freddie Mecury)가 사랑했던 몽트뢰(Montreux)를 가게된 것도 Pride 와의 인연이 시작이었다.


'엉망이군', 나의 첫 DSLR 사진 K100D ( 18mm, F5.6, 1/60 )  @아키하바라


:: DSLR과의 만남 - PENTAX K100D ::


고베 교환유학시절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동창 둘이 여행을 왔다. 
당시 친구 한명은 함께 동경을 여행했을 적 당시 나오기 시작한 DSLR 을 언급하며, 구매를 재촉(?) 하였는데, 결국 넘어갔다

알바비 한달치에 해당하는 돈을 요도바시 카메라에 쏟고 구매한 카메라는 PENTAX 에서 나오고 당시 ' 손떨림 방지 ' 기능으로 유명(??)했던 K100D 모델이었다.


이 기계를 처음으로, 
그 뒤의 일본생활은 물론 미국, 캐나다, 유럽, 호주까지 많은 추억을 남기게 해준 그런 기종이 되었다.


당시는 600만 화소씩이나 되는 기종이었지만,
현재는 600만 화소밖에 안되는 그런 기종이다.

하지만, 최근 필름 기종인 PENTAX P50 을 이용하며 종종 K100D 를 활용하는 중이다.


K100D 는 나의 20대는 물론 30대의 많은 추억을 기록하게 해준 그런 고마운 기종이다.


2009년 1월 6일, 첫 직장을 관두고 많은 사연을 뒤로한채 브리즈번에 도착하였다.


:: 30대의 마음가짐을 가지게 해 준 곳 - 호주 워킹홀리데이 ::


나는 평범하게 직장생활을 이어 나갈 줄 알았다.
하지만, 그 생각은 여지 없이 무너져 30대라는 시작을 할 시기 나에게 큰 시련을 가져다 주었다.


지금 생각하면 ' 추억 ' 이라는 두 글자로 정리 할 수도 있겠지만,
호주에서의 생황이 없었다면,
이탈리안 레스토랑 CAPRI에서의 ' 주방 보조 ' 라는 삶이 없었다면,


' 지금의 내가 존재 할까 '
라는 생각을 끊임없이 하고 있고, 오늘 이 글을 쓰는 이 순간까지도 그 시절의 하루하루가 주마등 처럼 지나간다.


human, humantravel & flyhuman 그리고 2019년


:: 그리고 그 후... ::


나의 30대는 '
안정적' 이라는 단어와 동떨어진 삶이었지만,
비교적 여러 풍파를 잘 이겨내가며 지금 오늘을 살고 있는 것 같다.


사실 몇 장의 사진으로 그간의 세월 모두를 정리 할 수는 없지만,
분명 위의 이야기는 지금의 나를 만들어주고 키워 준 소중한 것들이라고 단언 할 수 있다.


때문에, 
2019년의 내가 힘들거나 지칠때 기억을 해 내면 다시끔 미소와 용기를 줄 수 있는 것들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내 자신이 더욱 내 자신 답게 에너지를 발산하고,
그리고 내 자신이 더욱 주위에 좋은 에너지를 주는 그런 2019년을 기대해 보며 나의 지난 소중한 것들을 다시끔 기억해 본다.


더 높이 날 수 있는 2019년이길...


:)


#humandays #오렌지로드 #이승환 #HUMAN #휴먼 #LoveActually #GoodLuck #Queen #Pride #IwasBornToLoveYou #K100D #Pentax #호주 #화이팅 #2019




카루이자와역 / #KARUIZAWA



:: 북으로 그리고 북으로 ::


내가 탄 아사마호는 北陸新幹線(호쿠리쿠신칸센)으로 일본의 나가노 동계올림픽이 개최하기 전 1997년에 개통된 노선이다. 

어찌보면 우리나라도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강원도까지의 고속철도가 개통되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정시에 출발한 열차는 달리고 달려 빠른 속도로 이동하였다.

겨울의 보통의 풍경은 터널하나를 지나자 완전 분위기가 뒤 바뀌었다. 눈발이 날리는 것이었다. 이 시기에 이쪽 지방을 온 것은 처음이었는데, 말로만 듣던 눈발을 보게 된 것이다.


놀라고 있던 것도 잠시...

아사마 611호는 약 70분 남짓한 시간에 나를 카루이자와역에 내려주었다.


눈발이 날리는 플랫폼은 동남아에서 온 관광객들에게 좋은 선물이다.

연신 셔터를 누르는 그들의 모습에서 ' 진짜 여행객 ' 의 모습을 발견하였다.


눈발 날리는 습기가 꽉찬 겨울의 날씨.

이런날씨 일수록 따듯하게 입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미세한 냉기가 몸 속으로 침투하여 몸을 조금씩 차게 만들기 때문이다.


가루이자와 역 주변을 거닐다가 역 근처에 예약해둔 APA 호텔로 향하였고, 3시의 체크인을 기다라기는 동안 눈발이 날리고 있는 호텔 밖의 풍경에 시선을 옮겼다.



이 정도의 눈은 예사로.



 한국에서 출발할 때부터 보았던 눈이었기 때문에 낯설지는 않았지만, 낯선 동네에서의 하얀 눈은 뭔가 반가웠다.


' 아침에 그 고생했던 것은 이미 머릿속에서 지운 것이지... '


방은 1층 프런트를 바로 옆으로 하고 있어 시끄러울 줄 알았지만, 생각보다 조용하였으며, 예약사이트에서 본 것보다는 좁았으나, 하루를 묵기에는 부족함이 없었다.


그렇게 짐을 풀고 집을 나선 지 약 11시간만에 침대에 몸을 맡겼다.


아침에 눈을 뜨고...


집을 나서고,

택시를 찾고,

버스를 타고,

급하게 티켓팅을 하였으며,

비행기를 탔으며,

기차를 탔고,


일어나고 약 9시간만에 여기에 왔다.


아침부터의 일이 머릿속에서 주마등처럼 지나갔고, 약 1시간 정도의 꿀잠을 청하였다.



그리고 다시 눈을 뜨고 창밖을 보았다.


' 아... 완전 눈 나라네 ' 


라는 생각과 함께, 이제 카루이자와의 곳곳을 천천히 걸어볼 마음이 생겼다.


비수기인 카루이자와는 조용했다.

#카루이자와 #KARUIZAWA




이러한 동네 풍경은 기본...

#카루이자와 #KARUIZAWA



건너편 스키장과 아울렛을 제외하고 비수기인 카루이자와는 안쪽으로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인적이 드물었다. 

하지만, 한적한 겨울의 마을이 선 보이는 풍경은 꽤 훌륭하였다.


걷고 또 걸으며, 음악을 들었고

음악을 듣고 또 들으며, 생각에 잠기었다.


2017년이 시작되고 약 20여일이 지났으며, 그 시간을 돌아보며 반성할 것은 반성하며 계속 발걸음을 옮겼다.


카루이자와의 메인(?)도로..



여름하고는 너무나 다른 조용한 관광지...


그 속에 있는 타국의 사람들... 한 장면 한 장면을 눈에 담다가, 방문하고자 맘 먹었던 ' 성 파울로 성당 ' 으로 들어갔다.


성 파울로 성당의 전경

聖パウロカトリック教会 #KARUIZAWA


목재로 만든 이성당 안에서 겨울의 스산한 공기와 함께 마음 한구석에 자리 잡은 불안함을 떠올리며, 그것을 없애기 위해 기도를 하였다.


' 나는 무엇이 불안한 걸까? '


이 질문을 자신에게 반복을 해도 똑 부러지는 대답을 내어주지 않는다.


홀로 앉은 성당 내에서 입으로 무언가를 중얼중얼 거리며, 무엇을 걱정하는지 술술 이야기를 하였다. 결론은 결국 내가 내리겠지만, 그것을 도와주는 것은 내가 아니다.


' 내가 모르는, 그 무언가이다 '


작은 성당이지만, 겨울의 스산한 기운을 마음속에서 흘러나오는 마음의 소리로 잔잔하게 만들 수 있었다.

St. Paul's Catholic Church @KARUIZAWA



20여분 남짓한 성찰(?)과 통회(?)의 시간을 보내고 다시 발걸음을 돌렸다. 배가 슬슬 고파오는 저녁 시간이다.

카루이자와에서 어딘가에서 저녁을 먹을까? 하며 찾았던 소바집 ' そば川上庵 (소바카와카미안)에 들어가니 오늘 저녁시간 첫 손님이라고 하며, 반겨준다.


무엇을 먹을지 결정을 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메뉴판을 요리조리 보다가, 이 집의 간판인 暖そば(따뜻한 소바/메일) 메뉴인 天ぷらそば와 지역 맥주를 주문하게 되었다.


6.7도의 맥주 맛은 깊은 풍미와 함께 빈속의 식욕을 최고조로 자극하였으며, 따뜻한 소바국물은 그 속을 다시 달래주었다.


빛깔이 예사롭지 않았던 카루이자와 맥주

軽井沢地ビール #humanbeer


소바 전에 먼저 새우튀김은 그 크기를 놀라게 하는 정도였는데 이 집의 튀김은 모두 소금을 찍어 먹게 되어 있어 처음에는 의아했지만, 한입을 베어 먹어보니,


' 우아 '


라는 감탄사만이 입에 남을 뿐이었다.


소바가 나오기 전 함께 나온 튀김...

소금에 찍어먹은 그 맛 일품이었다.


급하지 않고 천천히,

많은 양이 아닌 조금씩 음식을 음미하며, 맥주를 즐겼다.


오늘, 이 조용하고 고즈넉한 길을 걸으며 느낀 점을 잊지 않도록 수첩에 메모하였으며, 


' 맛이 괜찮습니까? ' 라고 말을 건네왔던 식당 직원 사사노상과 잠시 이야기도 나눌 수 있었다.


내 눈은 왜 졸린 눈인가...

겨울의 풍경 안에서 맛있는 음식을...



식당직원인 사사노상과 ( 설마 사장은 아니었겠지... )

#소바카와카미안



한적한 비수기라고 하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식당의 절반이 채워져 있었고, 나의 음식과 맥주는 깨끗하게 비어 있었다.


내 속은 마지막으로 속을 든든하게 해 줄 そば湯(소바유)를 한 주전자를 더 달라고 하고 있었다.


소바와 맥주... 주말 여정의 첫 저녁식사로 충분하였다.

#KARUIZAWA



만족할 만한 한끼를, 만족스러운 식당에서...


그렇게 식사를 하고 나니 이미 저녁 시간의 2시간이 사라져 버렸다.

잘 먹었다고 인사를 하고 식당을 나서니, ' 또 먹었으면 좋겠다 ' 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맴돈다. 


뜨끈한 소바와 겨울... 

어울릴밖에 없는 풍경이다.



그렇게 다시 가루이자와역 쪽으로 발길을 돌렸고, 아쉬움을 해결하기 위해 구글맵에서 일본어로 BAR 를 뜻하는 'バー'로 주변을 검색하였다.


그렇게 해서 들어간 Kevin's Bar...

자신을 과거 한국과 일본에서 사업을 했던 사람으로 소개한 케빈은 미국에서 왔다고 소개한다.


이곳은 원코인바, 여기서 말하는 원 코인은 ' 500엔 ' 짜리 동전이다.


마실 것(?)이 원코인 500엔인 케빈바...

#KEVINBAR



이곳의 메인 맥주인 에비스 생맥주를 시작으로, 나가노 위스키로 만든 하이볼을 마시며 케빈과 다양한 이야기를 하였다. 


앨론 머스크와 한국의 IT산업,

한국과 일본의 정치 차이와 현 대한민국의 국정농단 이야기 등..


그렇게 이야기를 이어나가는 동안 작은 바  안은 서서히 채워졌고, 케빈은 바빠지기 시작하였다.


케빈바의 대표 맥주는 에비스의 琥珀エビス(코하쿠 에비스)

#KEVINBAR



근처 리조트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중심이된 이 가게의 단골들은 각자의 이야기 꽃을 서서 이어나갔다.

서비스업의 특징상 하루종일 서는 일을 해서 피곤할 터인데, 지칠줄을 모른다.


첫 손님이었기에 함께 1시간 정도 함께 이야기 했던 케빈상(?)과 오리타상.



모두 내가 하는 일본어를 듣고는 ' 어떻게? 이렇게 하고 있냐 ' 라고 물어본다.


나는 그냥

' 何と無く ' ( 어쩌다 보니 ) 라며 이야기를 하니 모두 못 믿는 눈치이다.



그리고 나 마저도 자신에게 자문해 본다.


' 나는 언제부터 타국 언어인 일본어가 자연스러워진 것 일까?? '


모르겠다. 기억이 나질 않는다.


그런 생각을 하다 이내 곧 

1잔을 마실 것을 2잔..

2잔을 마실 것을 3잔...

3잔을 마실 것을 .....

6잔까지 마시게 되었다.


나가노 신슈 위스키 베이스



MARS WHISKY 베이스 하이볼




그러면서 8시를 목표로 했던 귀가(?) 시간은 어느덧 11시가 넘어갔고,

바에 있던 사람들과는 어느덧 동네 친구처럼 친해졌다.


케빈의 바를 나서며 또 만나리라 약속을 하였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모르겠지만, 한국을 알고 일본에서 정착하여 사는 미국인의 동네에서 정착하여 하고싶은(?) 것을 하고 산다는 것이 참 인상깊었다.


See you Kevin~!!



KEVIN's BAR @KARUIZAWA



그렇게 낯선 곳에서 알아가는 것이다.

나와 상대방과 그리고 우리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를...


호텔로 걸어들어가며, 눈을 밣고 또 밣았다.


이곳은 동경에서 신칸센으로 단지 약 70분...

눈을 거의 못 보았던 동경에서와 달리 이곳에서 펼쳐진 눈 세상을 통해


' 조금만 세상에 눈을 넓히면 ... ' 이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떠나가 질 않는다.



가야할 곳은 이곳? 저곳?



생활도..

일도...

그래야겠다.


머무르지 말자.

정체하지 말자.

멈추지 말자...


그런 생각을 하며, 첫날을 마무리하였다.


The End of Human's Weekend Travel No.2

#humantravel #weekendtravel #flyhuman #NRT #KARUIZAWA




+ Recent posts